리치패드

리치패드

  • 분류 전체보기
    • ACT
    • NLP
    • ENG
    • Mindful Leader
    • Mindful Workplace
    • older adults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리치패드

컨텐츠 검색

태그

defusion 분아통합 act grwoth 관점바꾸기 메타모형 인지적 탈융합 nlp 온정적 관심 리더십 입문 마음챙김노년 분아 Pacing 탈융합 핵심층 nlp입문 nlp앵커링 로버트 딜츠 밀턴모형 직장에서 자기연민 Act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정서책임(1)

  • NLP입문5장(5) _복문등식

    복문등식 복문등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도전할 수 있다 '어떻게 이 말이 그런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가?' 225 기본가정 선택을 제한하는 기본가정을 밝혀낼 필요가 있다. 226 "왜 나를 제대로 돌봐줄 수 없나요" 라는 질문은 "당신이 나를 제대로 돌보지 않는다'는 것을 깁ㄴ 가정으로 삼는다. !이므로, ~할 때, ~라면 과 같은 말을 포함한느 문장에는 대체로 기본 가정이 깔려 있다. ;깨닫다 알아차리다. 무시하다 같은 동사뒤에 오는 문장도 기본 가정이 잇을 수 있다. 기본 가정의 문형에 대해서 다금과 같은 질문으로 도전 '무엇이 당신으로 하여금 ~한 사실을 믿게 하는가? (~부분을 기본 가정으로 메운다) 인과관계 어떤 사람도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직접 좌지우지 할 수 없다. 228 다른 사람들이..

    2023.06.12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