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턴모형(3)
-
NLP입문6장(4)무의식과 자원에 접근하기,메타포, 스토리텔링
무의식과 자원에 접근하기 우뇌는 서로 다른 실제의 말보다는 목소리의 어조, 음량, 소리의 방향과 같이 점차로 변할수 있는 모든 면에 민감. 우뇌는 말의 내용보다는 전달하고자 하는 말의 맥락에 민감 우뇌가 간단한 형태의 언어는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강조점이 담긴 메세지는 우뇌롤 가게 됨. 그런 메시지들은 좌뇌를 우회하여 지나가며 의식적 차우너에서 인식되는 일은 거의 없음 259 강조를 하는 방법 어조, 몸짓을 다르게 함으로써 말의 특정 부분을 강조할 수 있음. 무의식의 주목을 끌기 위해 지시나 질문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음 말은 그 안에 담겨 잇는 명령의 형태를 만들어 내기 위해 특별한 주목을 끌 수 있는 특정한 어조로 강조될 수 잇음 259 밀턴모형에서 인용quote 문형 부정문은 경..
2023.06.26 -
NLP입문6장(3)의식적 마음의 혼란과 활용, 좌뇌와 우뇌
의식적 마음의 혼란과 활용 밀턴모형의 중요한 부분 정보를 누락시켜서 의식적 마음이 기억의 저장고로부터 누락된 정보를 채워 넣느라 바쁘게 만드는 것, 253 명사화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삭제함. ==>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적을수록 다른 사람의 경험과 일치하지 않을 위험은 적어진다. 253 비구체적 동사가 사용==> 구체화도지 않은 상태의 동사를 말함. 명사구가 일반화되거나 완전히 생략될 수 있음 비교와 판단 모두 기본 가정을 전달하는 좋은 방법==> 이것은 트랜스를 유도하고 활용하는 강력한 방법 말과 말을 연결해주는 전환어(~할 때, ~하는 동안..) 는 부드러운 형태의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표현 254 * 마음읽기와 밀턴모형: 마음읽기는 너무 구체적이어서는 안됨 상대방이 생각하고 있음직한 것을 아는 ..
2023.06.26 -
NLP입문6장(1)외부집중상태와 내면집중상태, 밀턴모형
외부집중상태와 내면집중상태 감각을 외부 세계에 맞추는 상태 : 외부집중상태(uptime)이라고 함. 생각에 깊이 잠기는 상태,: 내면집중상태downtime 이라고 함. 내면집중상태란 백일몽을 꾸고 계획을 하며 공상을 하고 가능성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가는 곳, 242 우리의 일상의 의식은 내면에 대한 자각과 외부에 대한 자각이 부분적으로 섞여 있음 242 처한 상황에 따라서 감각 기능을 외부로 돌릭나 내부로 돌린다. 243 잘못된 마음상태, 즉 마음의 상태가 잘못되었다고 하는 것은 없다. 단지 다른 결과가 있을 뿐이다. 243 - 바둑을 두는 마음 상태로 테니스를 친다면 잘할 수 없을 것이다. 트랜스(trance)라는 내면집중상태와 같은 형식을 유도하고 사용함으로써, 곧바로 무의식적 자원에 접근할 수 있..
2023.06.26